1) 체중 감량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의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는 체중 감량이 일차적 치료법이 되어야 한다. 약 5% 정도의 체중만 감량해도 다모증과 여드름 등의 고안드로겐혈증에 의한 증상이 호전되며, 생리 주기와 배란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2) 불규칙한 생리 주기의 교정
무배란에 의해 자궁내막이 지속적으로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면 자궁내막 증식증이나 자궁내막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생리 주기나 횟수보다는 자궁내막이 과증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더 중요하므로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서든지 생리를 유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흔히 이용되는 방법은 프로게스테론 제제나 경구용 피임제를 주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이다. 경구용 피임제는 자궁내막 과증식 억제와 함께 피임작용이 필요한 젊은 여성에서 많이 선택되는 치료법이다.
3) 심혈관 질환이나 제 2형 당뇨 발생에 미치는 고인슐린혈증의 영향 최소화
메트포르민(Metformin): 인슐린 반응개선제(insulin sensitizer)로 제 2형 당뇨병의 치료제로 공인 받아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트포르민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 사용되었을 때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중 인슐린과 안드로겐 농도를 감소시키고 무배란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혈당을 떨어뜨려 고혈당을 치료할 수 있지만, 정상 혈당 상태에서는 혈당 저하를 유도하지 않는다.
아직 이 약제의 효용성에 대한 논란이 있고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치료제로 허가를 받지 못한 상태이고, 아직 모든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게 적용되는 치료법은 아니며,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의 장기적인 예방 효과에 대한 데이터도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다.
4) 수술적 치료
전기 소작술, 레이저 기화술, 복강경을 이용한 난소 절제, 난소 천공술 등이 있습니다. 수술 후 항체 형성 호르몬 농도가 정상화되고, 안드로겐 수치와 인슐린 저항성이 감소되는 효과를 보입니다.
수술 후 1년 이내 임신율은 약 50~80%로 보고된 바 있으며, 난자의 질이나 자궁내막의 감수성을 향상시켜 임신 시 자연 유산율을 낮출 수 있습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부속기 주위 유착 형성, 난소 예비력의 손상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배란유도를 통한 임신의 달성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서도 일반적인 배란유도제의 사용으로 배란유도 및 임신에 성공할 수 있다. 배란 유도를 위해 메트포르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배란유도제 치료를 시작하기 전의 처치제 또는 병합 치료제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성선자극호르몬 주사제를 사용할 경우 난소의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 난소과자극증후군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므로 배란을 유도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6) 이노폴릭
현제 이노폴릭은 이탈리아 롤리파르마사에서 미오-이노시톨 성분을 가지고 연구 개발한 제품으로 31개의 논문으로 그 효과를 입증 받았으며, 의약품관는 다르게 부작용이 없으며 다낭성 난소 증후군 뿐만 아니라 호르몬 불규칙, 임신 준비, 임신성 당뇨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